[경제읽기] 오미크론에 세계경제 불확실성 가중…"경제하방 위험"<br /><br /><br /><br /><br />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오미크론으로 급락했던 뉴욕 증시가 하루 만에 반등에 성공했습니다.<br /><br />흔들렸던 금융시장이 진정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요.<br /><br />하지만 여전히 오미크론은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 요인으로도 거론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우리 경제에는 어떤 변수가 될지, 전망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여야가 가상자산 과세시점을 2023년 1월로 연기하고 1가구 1주택자의 양도소득세 비과세 기준을 9억 원에서 12억 원으로 상향하기로 합의했습니다.<br /><br />관련 내용, 권혁중 경제평론가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 '오미크론' 영향으로 급락했던 미국 뉴욕 증시가 하루만에 반등에 성공했습니다. 유럽증시와 국제 유가도 다시 오르고 국제금값은 소폭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는데요. 오미크론에 대한 우려가 진정된걸까요?<br /><br /> '오미크론' 확산으로 전세계의 코로나 대응 대책도 다시 시험대에 오르고 있습니다. 봉쇄는 없더라도 여행 제한이나 각종 방역 규제로 경기에 악재가 되지 않을지 걱정인데요. 이번 사태로 산유국들이 증산 계획을 접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습니다. 여파 어떻게 예상하세요?<br /><br /> 오미크론의 전염성과 심각성 등 정확한 특징 파악까지 약 2주의 시간이 필요한데요. 그동안 글로벌 금융시장은 불확실성에 놓이게 됐습니다. 파월 미국 연준 의장도 오미크론이 미국 경제에 위협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는데 어떤 변수가 될까요? 우리 정부는 어떻게 대응 중인가요?<br /><br /> 여야가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에 대한 과세 시점을 내년 1월에서 2023년 1월로 연기하는 데 합의했습니다. 과세 당국인 기획재정부의 반대에도 정치권이 합의한 배경은 무엇인가요? 오는 2023년부터 가상자산에 어떻게 과세가 이뤄지게 되는지도 짚어주시죠?<br /><br /> 여야는 1세대 1주택자의 양도세 비과세 기준을 시가 9억 원에서 12억 원으로 상향 조정하는 안에도 합의했습니다. 이르면 12월 초 국회 본회의에서 의결될 전망인데요. 부동산 시장 반응은 어떻게 예상하세요?<br /><br /> 일부 시중은행이 최근 제한적인 대출을 재개하며 실수요자의 숨통이 조금 트이는 듯했는데 이번엔 제2금융권이 대출 중단에 나서고 있습니다. 어떤 이유 때문인가요?<br /><br /> 금융당국이 최근 제2금융권의 가계대출 증가율 목표치를 올해보다 대폭 낮춰 제시하며 내년 대출 한파는 더욱 매서울 예정인데요. 높아지는 2금융 대출 문턱에 중·저신용자들이 불법 사금융으로 내몰릴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. 추가적인 대책이 필요하진 않을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